hifinet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hifinet

메뉴 리스트

  • Home
  • Link
  • 분류 전체보기
    • 공지사항
    • 뉴스
    • 포커스
    • 하드웨어리뷰
    • 컬럼
    • Link

검색 레이어

hifinet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2009 라스베가스 CES 최종편

    2009.01.14 by hifinet

  • 2009 라스베가스 CES 5부 샤프/파이오니어

    2009.01.13 by hifinet

  • PC용 액티브 스피커 삼국지 (피콜로 / 오디오엔진 / 인티머스)

    2009.01.13 by hifinet

  • 2009 라스베가스 CES 4부 파나소닉/히타치

    2009.01.12 by hifinet

  • 2009 라스베가스 CES 3부 소니/도시바

    2009.01.11 by hifinet

  • 2009 라스베가스 CES 2부 LG

    2009.01.09 by hifinet

  • 2009 라스베가스 CES 1부 삼성

    2009.01.09 by hifinet

  • 레벨 울티마2 스튜디오2 플로어 스피커

    2008.11.15 by hifinet

2009 라스베가스 CES 최종편

Posted by 이종식 Da-Lite 스크린 코너입니다. 왕년에는 한국 업계에서 그냥 '달라이트'라고 부르는 경향이 많았는데, 요즘은 본토 발음대로 '데일라이트'라고 부르는 분들이 늘고 있더군요. Da-Lite는 Daylight에서 음차(音借)한 것이 맞지만 우리끼리는 뭐 아무렇게나 부르면 어떻습니까? 아래 사진은 조 케인씨가 개발한 Da-Lite의 Affinity 스크린입니다. 이 방에서 삼성 A900B와 Affinity 스크린을 사용해서 데모하고 있었습니다. 예약된 사람만 시간을 정해 놓고 모아서 시연한답니다. 시연이 끝나기를 기다렸다가 이미 만나기로 했다면서 대충 뻥 좀 치고 밀고 들어갔죠. 조 케인씨입니다. 데모룸에 사용하는 레벨 얼티마 살롱2와 보이스2 센터 스피커구요. 1부의 삼성편에서 이야..

포커스 2009. 1. 14. 16:01

2009 라스베가스 CES 5부 샤프/파이오니어

Posted by 이종식 ◈샤프 이번 CES를 보고 느낀 점입니다만, 샤프는 더 이상 국내 업체에 위협이 되지 못할 것 같습니다. 이번에도 나름 열심히 화려하게 꾸몄습니다만, 제가 보기엔 그게 최후의 안간힘을 짜내는 것으로 보이더군요. 샤프를 좋아하시는 분들에게는 죄송하지만 적어도 제 느낌은 그랬습니다. 아날로그 CRT 시절엔 샤프도 삼성, LG 만큼이나 별 볼일 없던 TV 회사였습니다. 소니, 파나소닉, 도시바 등이 각축을 벌였다면 샤프나 산요, 삼성, LG는 K mart나 Costco에서 저가형이나 팔고 있었지요. 샤프는 계산기나 유명했을 정도였나요? 그러던 샤프가 디지털 평판형 디스플레이 시대로 접어들면서 삼성, LG와 함께 초강자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일본 경제의 전반적인 구조 문제인지, 아니면 ..

포커스 2009. 1. 13. 23:38

PC용 액티브 스피커 삼국지 (피콜로 / 오디오엔진 / 인티머스)

written by 최윤욱 -피콜로 액티브 스피커- PC용 스피커라고 하면 열악한 음질에 소리만 나면 다행이라는 생각이 드는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요즘 컴퓨터를 통해서 음악을 듣는 인구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질좋은 PC용 스피커가 속속 출시되고 있다. 시쳇말로 따끈따끈한 PC용 스피커 세종을 모아서 들어보기로 했다. 제일 먼저 최정호님이 리뷰한 ‘오디오엔진’이 리스트에 올랐다. 와싸다에서 바람을 일으키고 있는 피콜로가 두번째가 되었다. 피콜로(Piccolo)는 카시오페아로 유명한 허만선씨가 스피커 튜닝에 참여한 제품이다. 마지막 으로 리스트에 올라온 제품은 요즘 성가를 높이고 있는 국산 브랜드 ‘인티머스’의 신제품이다. 기존의 인티머스에서 크기가 좀 작아지고 USB 를 지원하는 신모델이다. 우선 크기..

하드웨어리뷰 2009. 1. 13. 10:53

2009 라스베가스 CES 4부 파나소닉/히타치

Posted by 이종식 ◈파나소닉 소니와 도시바의 전시장에서 억지로 태연함을 가장하는 느낌을 받았었다면 파나소닉은 그보다는 괜찮은 느낌이었습니다. 예년보다 더 낫다고 할 수는 없겠지만 그래도 '침체'나 '패배 의식' 보다는 '활기'가 어느 정도는 느껴졌으니까요. 상당히 공격적이고 마케팅도 열심이었습니다. 물론 이것도 순전히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파나소닉도 모든 전시장이 매년 비슷한 컨셉입니다. 삼성이 입구부터 TV로 물량 공세를 퍼부어 주눅을 들게 만드는 스타일이라면, 파나소닉은 입구에 초대형 PDP를 비롯해 PDP들로 무대를 만들어 놓고 진행자가 나와서 설명하는 방식이지요. 그런데 요즘은 다른 업체들도 삼성 스타일과 비슷해지니까 오히려 파나소닉이 독특해 보이네요. 파나소닉의 PDP 모델명인 비에라..

포커스 2009. 1. 12. 23:36

2009 라스베가스 CES 3부 소니/도시바

Posted by 이종식 요즘 경제 사정이 좋지 않다는 것은 일본 업체들의 전시장에서도 드러납니다. 초라하지 보이지 않으려고 꾸미기는 꾸몄는데, 예년에 비한다면 뭔가 한물 가고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습니다. 소니의 대규모 감원 소식이나 2008년도 매출 손익에서 거액의 적자를 기록한 것은 이미 경제 뉴스에서 크게 다뤄지고 있는 사실입니다. 도시바도 근래의 HD-DVD 참패를 예로 들지 않아도 소니보다 사정이 나을 것이 없지요. 한때 잘 나가던 노트북 컴퓨터도 예전 같지 않고요. 일본 기업이 비실거리고 한국 기업이 잘 나가면 한국인의 입장에서 좋아해야 하는 것은 맞지만, 또 소비자 입장에서 보면 꼭 그런 것만도 아닙니다. 파나소닉, 도시바 등이 한국에서 모두 철수하고 그나마 한국에서 삼성, LG에 맞서..

포커스 2009. 1. 11. 14:33

2009 라스베가스 CES 2부 LG

Posted by 이종식 LG 전시장은 라스베가스 컨밴션센터 Central Hall의 가장 앞쪽에 있었습니다. 역시 개장 시간 이전이라 한산할 때였고요. 덜 붐빌 때 일단 한국 업체들이라도 사진을 찍어 놓자는 계산 아래 바쁘게 움직였습니다. LG는 시장 점유율에서 삼성은 물론, 소니 등 일본 회사에 비해서도 낮습니다. 한국에서는 2등의 설움을, 세계 시장에서는 5위권 유지 정도가 현재의 성적표지요.(물론 남미 등에서는 '명품' 브랜드로 꼽힌다는 말도 들었습니다만...) 그러나 올해 CES의 LG 전시장을 보면 앞으로 상당한 선전이 예상됩니다.(엔고의 영향도 있겠지요) '독기'까지는 몰라도 경쟁 업체에 비해 앞서 가려는 의도가 많이 보이고, 나름 많은 연구를 한 것 같습니다. 80인치, 100인치 등등....

포커스 2009. 1. 9. 13:09

2009 라스베가스 CES 1부 삼성

Posted by 이종식 라스베가스뿐 아니라 90년대 초반까지 하계에 열렸던 시카고쇼까지 치면 CES를 15번 이상은 본 것 같습니다. 하지만 최근 2-3년은 참관하지 못했으니까 저로서도 이번엔 꽤 오래간만인 셈입니다. 그런데 나이가 들었는지 이젠 구경하는 것도 힘들군요. 첫날부터 거의 퍼졌습니다. 요즘 세계적인 경제 침체라 CES도 썰렁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있었지만, 불황일수록 더욱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인지 예년에 비해 방문객이나 업체 수가 별로 적어 보이지는 않았습니다. 2009년 CES 참관기는 하루에 한 업체씩 정리해서 올리는 것을 시작으로 대략 1주일 정도에 마치려고 합니다. 순서는 삼성, LG, 소니, 파나소닉, 샤프를 각각 1회씩 할당하고, 파이오니어와 도시바, 히타치 정도를 한 회로 ..

포커스 2009. 1. 9. 12:28

레벨 울티마2 스튜디오2 플로어 스피커

레벨 스피커의 최상위 제품군인 울티마 시리즈는 평단의 호평을 받고 화려하게 데뷔한지 몇 년이 지났다. 이제는 두번째 세대에 해당하는 울티마2 시리즈가 그 자리를 이어받게 되었다. 울티마 스피커 시리즈가 제시했던 완성도는 놀랄 정도였고 곧바로 레퍼런스급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그 이후에 경쟁스피커 회사에서는 세부적인 부문에서 좀 더 개선된 성능을 보여주면서 스피커의 소재기술이 끊임 없이 개선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해 왔다. 많은 오디오 애호가와 평론가들은 레벨 스피커를 가까이 따라온 스피커 또는 일부 항목에서 추월해버린 스피커들을 바라보면서 레벨이 경쟁제품의 도전을 뿌리칠 수 있는 후속작으로 어떤 제품을 내놓을 것일까 고대해 왔다. 구성과 엔지니어링 레벨의 엔지니어는 투명한 트랜스듀서로서의 충실한 역할을 하는..

하드웨어리뷰 2008. 11. 15. 20:51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91
다음
TISTORY
hifinet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