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finet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hifinet

메뉴 리스트

  • Home
  • Link
  • 분류 전체보기
    • 공지사항
    • 뉴스
    • 포커스
    • 하드웨어리뷰
    • 컬럼
    • Link

검색 레이어

hifinet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하드웨어리뷰

  • 야마하 AVC-S30 AV 시스템

    2006.08.02 by hifinet

  • 야마하 RX-V2600 AV 앰프

    2006.07.22 by hifinet

  • 코플랜드 CTA-405 KT88 인티앰프

    2006.07.22 by hifinet

  • 파워 앰프 험 해결 체험기

    2006.07.21 by hifinet

  • 마크레빈슨 No.383 인티앰프

    2006.07.21 by hifinet

  • E.A.R. V20 인티앰프

    2006.07.21 by hifinet

  • 마이크로메가 A80/CD3/FM3 하이파이 시스템

    2006.07.21 by hifinet

  • VTL MB450 6550 모노블럭 파워앰프

    2006.07.21 by hifinet

야마하 AVC-S30 AV 시스템

posted by 박우진 홈 시어터의 세계는 설치될 공간의 특성이나 규모 만큼이나 다양하다. 영화관 못지않은 대형 시스템에서부터, PC와 연결하여 구성한 간략한 시스템도 흔히 접할 수 있다. 많은 이들이 가정 극장이라는 호쾌한 컨셉트에 매력을 느끼지만, 현실적으로는 책상 위에 올려 놓을 단정한 시스템에 대한 요구도 크다. 자신의 방에서 부담 없이 음악과 영화 감상에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 있었으면 하고 생각할 때가 있다. 야마하 AVC-S30 시스템은 스피커와 앰프, DVDP로 구성되었다. 하나의 큰 박스 안에 3개의 박스가 들어 있으며, 앰프 AVC-S30, 위성 스피커 NX-S30, 서브우퍼 NX-SW30, 그리고 DVD 플레이어 DVD-S30이 포함된 형태이다. 스피커 박스에는 5개가 있어야 할 ..

하드웨어리뷰 2006. 8. 2. 10:43

야마하 RX-V2600 AV 앰프

Posted by 문한주 on 06/01 at 07:56 AM 몇년 전 영상부문에서는 완전 디지털 영상 신호 전송이 화두가 된 바 있었는데 이제는 바야흐로 본격적으로 디지털 영상 신호 전송 인터페이스 보급 시기를 맞고 있다. 디지털 영상 신호 전송은 크게 DVI와 HDMI로 나뉘어지는데, 컴퓨터 모니터에 보내어지는 디지털 영상 신호 전송은 DVI가 맡게 되고, 고화질 TV의 디지털 영상 신호 전송은 HDMI에게 맡겨지는 식으로 역할분담이 이뤄지고 있다. HDMI를 지원하는 HDTV와 영상재생기기 신제품이 늘어가는 추세에 따라 AV 리시버도 HDMI 대응 능력을 갖추게 되었을 때 편의성과 호환성이 높아진다. 이런 HDMI 환경에 본격적으로 대응하는 AV리시버를 구입할 것을 고려중이라면 우선 AV리시버가 다..

하드웨어리뷰 2006. 7. 22. 14:41

코플랜드 CTA-405 KT88 인티앰프

posted by 박우진 하이파이넷에서는 코플랜드의 CD플레이어, CDA823이 좋은 평가를 받았다. 그래도 코플랜드가 가장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는 분야는 역시 처음 소개한 진공관 인티앰프가 아닐까 싶다. 캐털로그를 보면, CTA305와 CVA306(멀티 채널)이라는 프리앰프, 그리고 파워앰프로는 프리앰프와 새시 크기가 거의 비슷한 소형의 CTA520(120와트 출력)이 있을 뿐이고, 스테레오앰프로는 사실상 CTA405가 가장 고급 제품이 된다. 코플랜드의 CTA-405는 KT88을 사용하는 진공관 인티앰프로 높이가 185밀리미터에 깊이도 390밀리미터, 무게도 20킬로 그램을 상회할 만큼 생각보다 상당히 크다. 필자는 작년 아이어쇼에서 KEF 레퍼런스203 스피커와의 조합으로 처음 접했는데, 소리를 ..

하드웨어리뷰 2006. 7. 22. 14:21

파워 앰프 험 해결 체험기

최정호(jdcgroove@daum.net) 2004-10-31 18:31:00 오디오 하는 사람치고 험(Hum) 좋다는 사람 없을 것이다. 험 그리고 각종 노이즈는 음악 감상의 즐거움을 저해하고 오디오하는 재미를 반감시키는 달갑지 않은 골칫거리이다. 글쓴이의 경우는 전기 사정에 민감한 파워 앰프를 쓰고 있는데다가 올해 아파트에서 단독주택으로 이사를 하면서 험문제에 더 많이 노출되었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에 비해 전기 사정이 좋지 않은 경우가 많은 단독 주택은 집을 지을 당시부터 전기 공사에 별도로 신경을 쓰지 않을 경우 기본적인 접지 공사 조차 안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글쓴이의 경우가 바로 이 경우에 해당한다. 어떻게 하면 험 문제를 줄이거나 해결할 수 있을지 늘 신경이 쓰였지만 마땅한 방법을 찾지 못하..

하드웨어리뷰 2006. 7. 21. 23:25

마크레빈슨 No.383 인티앰프

Posted by 남상욱 on 01/15 at 11:25 AM 마크 레빈슨의 383 인티 앰프는 마크 레빈슨 라인업 중 유일한 인티 앰프로 새로운 300시리즈와 400시리즈가 속속 발표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도 여전히 베스트 셀링 제품으로 자리를 지키고 있는 제품이다. 인티앰프로서는 상당한 가격을 자랑하는 제품이기는 하지만, 많은 사랑을 받은 300시리즈의 성능을 그대로 누릴 수 있다는 점에서는 여전히 가격적인 장점도 가지고 있는 제품이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마크 레빈슨의 제품인 만큼 복잡할 만큼 다양한 프로그래밍 기능이나 편리한 리모콘등 사용자들을 위한 배려 역시 최고의 성능을 자랑한다. 8옴시 100w의 출력을 내도록 설계되어 있고 2조의 밸런스 입력단을 마련하여 좀더 다양한 입력의 선택을 할 수 ..

하드웨어리뷰 2006. 7. 21. 23:24

E.A.R. V20 인티앰프

Posted by 남상욱 on 01/15 at 11:26 AM 전설적인 진공관 앰프 설계자인 Tim de Paravicini의 EAR사는 프로오디오와 하이파이 오디오계 모두에 잘 알려진 영국 오디오 제조사이다. 필자 역시 팝음악의 매스터링시 그가 설계한 EQ를 메인 EQ로 사용하고 있는데, 진공관 EQ답지 않은 투명함과 진공관 고유의 아름다운 음색이라는 다소 아이러니한 두 특색을 함께 가지고 있는 흔치 않는 기기로 Paravicini의 설계 능력에 높은 점수를 주고 있기도 해서 많은 기대를 가지고 청취에 임하게 되었다. EAR사의 제품들은 834, 859등 주로 숫자 8로 시작하는 모델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V20은 이러한 기존의 모델들과는 다른 이름과 외양을 가지고 있는 제품이다. V20이란 이름의 연원..

하드웨어리뷰 2006. 7. 21. 23:23

마이크로메가 A80/CD3/FM3 하이파이 시스템

posted by 박우진 마이크로메가는 1987년도에 설립된 프랑스의 오디오 전문 업체다. 마이크로메가는 창립 때부터 줄곧 디지털 재생 분야에 주력하여 명성을 얻었다. 특히 1989년에 발표한 트리오와 듀오, 솔로의 CD 플레이어들은 모두 각 가격 대에서 모두 최고의 성능을 지닌 제품으로 호평 받았다. 이후에 마이크로메가는 모듈 교환으로 음질적인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혁신적인 스테이지 1,2,3라는 저렴한 CD 플레이어를 발표해 또 다시 국내외 팬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다. 하지만 그 이후 환율 상승과 홈시어터 제품의 출시로 저렴한 하이파이 제품의 입지가 축소되는 바람에, 한동안 시장에서는 과거의 잊혀진 브랜드로 남아 있었다. 이번에 오랜만에 국내에 소개된 마이크로메가의 미니엄 시리즈는 이름에서 알 수 있..

하드웨어리뷰 2006. 7. 21. 23:22

VTL MB450 6550 모노블럭 파워앰프

Posted by 별아저씨 on 12/12 at 09:50 AM 10여년 만에 다시 만난 VTL “흠, VTL이라…” 리뷰의뢰를 받고 옛날 생각이 들었다. 93년도이던가에 앰프를 구하러 몇 몇 앰프들을 테스트하면서 결국에는 콘라드존슨사의 프레미어 11A를 선택하긴 했지만, 실제 들여놓고 싶었던 앰프는 VTL의 450이었기 때문이다. VTL의 앰프가 당시에 선택되지 못했던 것은 순전히 프레미어 11A의 가격보다 두 어 배 가량 비싸다는 이유때문이었다. 요 몇 년 사이에 하도 비싼 앰프들이 많이 나오는 바람에, Siegfried 시리즈를 제외한다면, VTL의 앰프의 가격은 오히려 상대적으로 가격이 덜 올랐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고 VTL의 앰프들이 싸다고는 할 수는 없지만 동사에서 현재 판매하고 있는 프리..

하드웨어리뷰 2006. 7. 21. 23:19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29 30 31 32 33 34 35 ··· 73
다음
TISTORY
hifinet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