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finet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hifinet

메뉴 리스트

  • Home
  • Link
  • 분류 전체보기
    • 공지사항
    • 뉴스
    • 포커스
    • 하드웨어리뷰
    • 컬럼
    • Link

검색 레이어

hifinet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코플랜드 CDA 822 CD 플레이어

    2003.07.22 by hifinet

  • CDP 비교 (에어, 메리디안, 오디오넷, 코플랜드)

    2003.07.08 by hifinet

  • 파워코드 비교 시청 3부

    2003.07.05 by hifinet

  • 오디오넷 ART V2 CD플레이어

    2003.07.03 by hifinet

  • 아캄 DiVA CD-82T CD 플레이어

    2003.06.30 by hifinet

  • 필립스 Q50

    2003.06.23 by hifinet

  • 로텔 RCD-1070 CDP

    2003.05.26 by hifinet

  • 소니 SCD-XB780 SACD플레이어

    2003.05.23 by hifinet

코플랜드 CDA 822 CD 플레이어

$2,000대의 새로운 강자 노정현(evaa@hitel.net) 2003-07-22 15:04:36 들어가며 코플랜드는 적당한 가격의 진공관 앰프로 국내에서도 많은 인기를 얻었던 브랜드이다. 특히 코플랜드의 앰프들은 진공관 방식이면서도 진공관을 노출시키지 않는 독특한 디자인을 가지고있다. 모든 제품들이 잘 연마된 은빛 알루미늄 패널을 가지고 있으며 리모콘을 지원하여 사용하기도 편리했다. 코플랜드에서는 90년대 후반 CDA 288이라는 대단한 물량이 투입된 CDP를 출시하면서 디지털 기기도 제작하기 시작했다. 필자가 매우 오랫동안 사용했던 CDP가 288의 아래 모델인 CDA 277이었다. 277의 경우 중립적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부드럽고 풍성한 음색은 나름대로 독특한 매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뛰어난 만듦..

하드웨어리뷰 2003. 7. 22. 10:07

CDP 비교 (에어, 메리디안, 오디오넷, 코플랜드)

$3,000-$4,000의 최강자는? 하이파이넷(webmaster@hifinet.co.kr) 2003-07-08 17:57:33 하이파이넷에서는 독자 여러분들게 좀 더 정확하고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가격대별 제품 비교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해서 다양한 제품의 리뷰를 접하게 되지만 막상 같은 가격대의 제품들이 서로 비교했을 때 어떤 특징과 성능을 가지고 있는지 알기란 쉽지 않습니다. 하이파이넷은 국내 최고 전통의 하이파이/ 홈시어터 웹진이라는 명예를 이어가기 위해 다양한 기획을 시도해 왔습니다. 앞으로 계속 연재될 가격대별 제품 비교 테스트에 회원 및 독자 여러분의 많은 성원 부탁 드립니다. 그 첫번째 기획은 400만원 전후의 가격대에 있는 CDP 비교입니다. 본격적으..

하드웨어리뷰 2003. 7. 8. 22:43

파워코드 비교 시청 3부

국산 파워코드를 중심으로 6종 비교 시청 최윤욱(mc7270@hitel.net) 2003-07-05 01:36:04 파워 케이블 그 끝은 어디인가 ? 파워케이블 리뷰는 원래 1.2부로 마무리 지을 예정이었는데 리뷰가 나간 후 여러 곳에서 리뷰 의뢰가 들어오는 바람에 3부를 기획하게 되었다. 1.2부와 겹쳐지는 부분은 가급적 배제하고 새로운 브랜드의 새 제품들 위주로 3부 리뷰를 구성했다. 3부의 특징은 국내 케이블 제조업체 제품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는 점이다. 좌 : 반덴헐선재 우 : XLO 레퍼런스타입2삼양전기에서 제작하는 케이블로 선재 외피에는 반덴헐이라고 표기되어 있다. 황금색의 외피가 인상적이다. 필자에게 처음에 비공식적으로 리뷰 의뢰가 들어온 제품이었다. 소스용과 파워용 두 가지가 있는데 색깔의..

하드웨어리뷰 2003. 7. 5. 04:01

오디오넷 ART V2 CD플레이어

문한주(raker@hitel.co.kr) 2003-07-03 13:01:50 오디오넷은 독일의 하이엔드 오디오 업체로 앰프, 소스기기 등을 제품군을 가지고 있다. ART란 aligned resonance transport의 문두글자로서 제품명만으로도 진동처리 기술을 사용하여 안정적인 트랜스포트 능력을 가진 CD플레이어인것을 알려주고 있다. V2는 두번째 버전 (version 2)을 뜻하는 것이다. 상당수의 오디호 애호가에게는 아직 이 회사의 이름이 낯설텐데 이 제품을 보고 있노라면 단지 이름뿐만 아니라 다른 CD플레이어와 다르게 보이는 부분도 꽤 많아 보인다. 18kg에 달하는 육중한(!) 무게, 까실한 촉감을 주는 넥스텔 처리 상판 한 가운데에 자리잡은 톱로딩 메커니즘, 트랜스포트로 써도 될 것 같은 ..

하드웨어리뷰 2003. 7. 3. 09:40

아캄 DiVA CD-82T CD 플레이어

100만원 초반대에서 가장 완성도 높은 제품 노정현(evaa@hitel.net) 2003-06-30 18:36:05 대부분의 하이엔드 오디오 제조사들이 DVD를 기반으로 하는 유니버셜 플레이어 개발에 관심을 두는 시점에서 아캄만큼 다양한 라인업의 CDP를 생산하는 경우는 드물다. 대부분의 제조사들이 대표적인 1-2 기종을 중심으로 라인업을 축소시키고 있는데 반해 아캄은 오히려 라인업을 계속 확장하고 있다. 음악 애호가들에게 있어서 CD 플레이어는 여전히 유용한 존재며 그만큼 가격대별로 다양한 모델을 갖추고 있는 아캄의 제품들은 좋으나 싫으나 일단 가격대별로 구매 리스트에 항상 오를 수밖에 없다. 최근 출시된 CD 82는 72와 92(곧 93으로 대체)의 중간대 가격으로 소비자들의 선택 폭을 좀 더 넓혀주..

하드웨어리뷰 2003. 6. 30. 06:16

필립스 Q50

조춘원(socio59@netsgo.com) 2002-06-23 15:29:51 필립스"는 세계 최대의 가전회사로 우리에게 친숙한 이름이긴 하지만 하이파이 오디오와 홈시어터 매니아들에겐 한동안 잊혀진 이름이기도 했다. 850,950,930(뒤에 951,931로 변경)등의 시디플레이어로 하이파이 오디오 입문기 시장을 제패하기도 했지만 후속 기종이 없어서 90년대 후반 이후 “필립스"는 값싼 시디카세트나 미니콤포 시장에 주력하는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앞서 소개했던 SACD1000을 비롯해 이번에 리뷰하게 된 Q50 DVD플레이어를 보면서 확실히 “필립스"의 이미지를 재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느꼈다. 결론부터 말하면 Q50 DVD플레이어는 각사별로 물밀듯이 출시되고 있는 프로그레시브 스캔 DVD플레이어들 중 어..

하드웨어리뷰 2003. 6. 23. 13:27

로텔 RCD-1070 CDP

합리적인 가격과 성능의 중급 플레이어 노정현(evaa@hitel.net) 2003-05-26 10:20:12 아직도 많은 애호가들은 로텔의 RCD-9** 시리즈를 기억하고 있을 것이다. 뛰어난 가격대 성능비로 많은 인기를 얻었던 로텔의 대표기종이며 여전히 많은 사용자를 가지고 있다. 최근 몇 해 동안 로텔은 애호가들 사이에서 회자되는 경우가 드물었는데 전반적으로 오디오 제품들의 성능이 동 가격대에서 평준화되면서 경쟁도 치열해졌고 그만큼 웬만한 성능 가지고는 주목받기 힘들어졌기 때문일 것이다. 덧붙여서 과거의 획일화된 디자인에서 탈피하여 브랜드별로 개성 있는 제품들을 계속 발표하고 있기 때문에 단지 성능이라는 변수 하나만 가지고 승부하기에는 더 힘들어진 곳이 바로 하이엔드 오디오 시장이다. 기억속에서 사라..

하드웨어리뷰 2003. 5. 26. 00:02

소니 SCD-XB780 SACD플레이어

멀티채널 SACD 전용기 조춘원(socio59@netsgo.com) 2003-05-23 14:15:43 CD를 대체할 차세대 오디오 포맷으로 SACD와 DVD-Audio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각종 오디오쇼나 컨퍼런스를 통해 자신들의 포맷의 우수성을 홍보하는가 하면, 유명 레이블로 하여금 자신의 포맷을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경쟁도 치열하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양자의 최대의 적수는 SACD도 DVD-Audio도 아닌 CD라는 말처럼 아직은 대중에게 크게 어필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오디오파일이 아닌 일반 소비자들은 CD를 넘어선 고해상도 오디오 포맷에 관심을 갖기보다는 오히려 저해상도 포맷인 MP3로 몰려들어 음반 시장의 존립이 위협받고 있는 심각한 상황이다. 따라서 음반사들은 무료 MP3..

하드웨어리뷰 2003. 5. 23. 05:46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77 78 79 80 81 82 83 ··· 91
다음
TISTORY
hifinet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